
1. 서론신경자극술은 중추신경계의 특정 부위를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신경생리학적 변화를 유도하는 치료법이다. 20세기 초부터 뇌의 특정 부위를 전기 자극하는 시도가 있었으며, 197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연구되었다. 특히 1990년대 이후에는 운동피질 자극술(Motor Cortex Stimulation, MCS)과 뇌심부자극술(Deep Brain Stimulation, DBS)이 통증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며 임상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1991년 Tsubokawa와 Katayama는 시상중풍통(Central Poststroke Pain, CPSP) 환자에게 운동피질자극술을 시행하여 진통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후 삼차신경성 신경병성 통증(trigeminal neuropathic pain..

파킨슨병의 수술적 치료: 뇌심부자극술(DBS)을 중심으로파킨슨병은 서동증(bradykinesia), 근육강직(rigidity), 안정시 진전(resting tremor) 등의 증상으로 대표되는 신경퇴행성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도파민 신경세포가 서서히 퇴화하면서 발생하며, 주요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초기에는 약물치료로 증상 완화를 시도할 수 있지만, 진행된 단계에서는 약물 치료 효과가 점차 감소하며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뇌심부자극술(DBS, Deep Brain Stimulation)**이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대안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뇌심부자극술(DBS)의 원리와 적응증뇌..

운동성 질환의 외과적 치료 - 뇌심부자극술운동성 질환 치료를 위한 외과적 접근 중 하나인 **뇌심부자극술(Deep Brain Stimulation, DBS)**은 신경계의 순환회로(circuitry)를 조절해 신경 기능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신경외과와 신경생리학의 발전에 따라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특히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부작용이 심한 환자들에게 새로운 대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파킨슨병, 근긴장이상증, 떨림, 우울증, 뇌전증 등 다양한 신경질환 치료에 효과적입니다.뇌심부자극술의 기본 원리뇌심부자극술은 뇌 특정 부위에 전극을 삽입하고 전기 자극을 가해 비정상적인 신경활동을 조절합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극 시스템은 미국 메드트로닉사의 3387 및 3389 쿼드리폴(quadri-pola..
- Total
- Today
- Yesterday
- 뇌심부자극술
- 안장주변 종양
- Baclofen
- gamma knife
- 레보도파
- SPECT
- Seizure
- 뇌전증
- 통증
- 방사선수술
- mri
- 제8뇌신경
- sdr
- 발작
- 저선량 조사
- mvd
- 뚜렛
- MEG
- 진통제
- 방사선치료
- 만성통증
- 삼차신경통
- radiosurgery
- 파킨슨
- DBS
- leksell
- Epilepsy
- scs
- 감마나이프
- ila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