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신경외과 - 정위기능

강직의 치료

Dabok-Nurse 2025. 2. 12. 23:49

강직(spasticity)의 발생 원인과 치료 방법

강직이란 수동운동의 속도에 비례하여 증가된 긴장성 심부건 반사를 보이는 운동장애로, 주로 상부운동신경계(UMN) 손상과 관련이 있다. 강직은 뇌졸중, 뇌성마비, 척수손상, 다발성 경화증 등의 다양한 신경학적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1. 강직의 발생 기전

강직은 상부운동신경증후군(UMN syndrome)의 일환으로, 근육긴장도 증가, 간대성 경련(clonus), 바빈스키징후, 강직, 좌우-반사궁 근육 동시수축 등의 증상을 포함한다. 강직이 유발되는 부위는 뇌나 척수의 손상으로 인해 주로 피질척수로(pyramidal tract) 및 보조운동영역(supplementary motor area)과 관련된 신경 구조에서 발생한다.

 

신경생리학적으로 강직은 일차 감각신경(axonal afferent)의 신경신호가 척수 내에서 억제되지 못하고, 과도한 반사반응을 유발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즉, 상위 신경계에서의 억제 기능이 떨어지면서 근육이 지속적으로 긴장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주요 억제 기전으로는

  • 상호 억제(reciprocal Ia inhibition)
  • 시냅스 전 억제(presynaptic inhibition)
  • 반복 억제(recurrent Renshaw inhibition)
  • 골지건 반사(Golgi tendon organ inhibition)
    등이 있다.

이러한 억제 기전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강직이 발생하고, 운동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2. 강직의 평가 방법

강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척도는 다음과 같다.

① 수정 애쉬워스 척도(Modified Ashworth Scale, MAS)

  •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강직 평가 방법
  • 수동적으로 움직일 때 나타나는 저항 정도를 평가
  • 장점: 간단하고 쉽게 적용 가능
  • 단점: 신뢰도가 높지 않음

② 수정 타르디유 척도(Modified Tardieu Scale, MTS)

  • 강직뿐만 아니라 수동운동의 속도에 따른 저항 변화를 평가
  • 근육이 경직되는 특정 각도를 측정하여 기록
  • MAS보다 더욱 정밀한 강직 평가 가능

이 외에도 근전도검사(EMG), 신경전도 검사(NCS) 등을 통해 강직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강직의 수술적 치료


3. 강직의 치료 방법

강직 치료는 크게 보존적 치료수술적 치료로 나뉜다.

① 보존적 치료

보존적 치료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요법 등을 포함한다.

(1) 약물치료

강직 완화를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물은 다음과 같다.

  • 바클로펜(Baclofen):
    • GABA 수용체 작용제
    • 척수 신경원에서 직접 작용하여 강직을 완화
    • 부작용: 졸음, 저혈압, 근력 약화 등
  • 가바펜틴(Gabapentin):
    • 항경련제로 사용되나 신경병증성 통증과 강직 치료에도 효과적
    • 부작용: 졸음, 어지러움 등
  • 티자니딘(Tizanidine):
    • α2 아드레날린 작용제
    • 척수에서 신경반사를 억제하여 강직을 감소
    • 부작용: 저혈압, 졸음 등
  • 보툴리눔 톡신(Botulinum toxin, 보톡스):
    • 국소적으로 주사하여 특정 근육의 과도한 긴장을 줄이는 역할
    • 효과 지속 기간: 3~6개월

② 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로 강직 조절이 어려운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1) 말초신경 절제술

  • 과도한 근육 긴장을 유발하는 신경을 선택적으로 절제
  • 단점: 근력 약화 가능성

(2) 후근 절단술(Selective Dorsal Rhizotomy, SDR)

  • 강직을 유발하는 척수 감각 신경근(rootlets)을 선택적으로 절제
  • 주로 뇌성마비 환자에게 시행
  • 강직은 완화되나, 수술 후 감각 저하가 발생할 수 있음

(3) 미세 척수 신경근 진입부 파괴술

  • 척수 후근이 지나가는 부위의 일부를 절제하여 신경 반사를 차단
  • 신경통 완화 효과도 있음

(4) 척수 내 전기자극술 및 바클로펜 주입술

  • 척수 내에 전극을 삽입하여 신경 활동을 조절하는 방법
  • 바클로펜을 지속적으로 투여하여 강직을 완화

결론

강직은 단순한 근육 긴장 증가가 아니라, 신경학적인 문제에서 기인하는 증상으로, 다양한 원인과 복잡한 기전을 가진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평가 방법을 선택하고, 보존적 치료 또는 수술적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존적 치료로는 약물치료와 물리치료가 주로 사용되며, 국소적인 강직에는 보툴리눔 톡신 주사가 효과적이다. 그러나 심한 강직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 후근 절단술(SDR)이나 바클로펜 펌프(Baclofen pump) 등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환자의 개별적인 상태에 맞춘 맞춤형 치료가 중요하며, 장기적인 관리와 재활 치료가 병행될 때 최상의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