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뇌전증이란?뇌전증(epilepsy)은 반복적인 발작(seizure)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계 질환이다. 발작은 뇌의 일부분 또는 전체에서 비정상적인 신경활동이 발생할 때 나타난다. 이는 유전적 요인, 뇌 손상, 감염, 대사 이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환자의 연령, 병력, 발작 형태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된다.2. 뇌전증의 분류뇌전증은 임상적 특징과 발작의 기전에 따라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된다.(1) 발작 유형에 따른 분류부분발작(focal seizure)뇌의 특정 부위에서 발생하는 발작으로, 국소적 증상을 보인다.의식 변화 여부에 따라 단순 부분발작(simple partial seizure)과 복합 부분발작(complex partial seizure)로 나뉜다.발작이 진행되면..

1. 반측안면경련(Hemifacial Spasm, HFS)이란?반측안면경련은 얼굴의 한쪽 근육이 반복적으로 불수의적으로 경련하는 신경근육성 질환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안면신경(root exit zone, REZ)이 혈관에 의해 압박을 받아 발생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이 악화되는 특징이 있다.2. 반측안면경련의 원인혈관 압박(Vascular Compression): 약 98%의 환자에서 안면신경이 인접한 혈관에 의해 지속적으로 압박받아 발생한다.뇌종양 및 혈관 기형: 극소수의 경우 뇌종양이나 혈관 기형이 원인일 수 있다.심리적 요인: 스트레스, 불안이 증상을 악화시키기도 한다.3. 반측안면경련의 분류전형적 반측안면경련(Typical Type): 대부분의 환자가 경험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

경막내 바클로펜 치료경막내 바클로펜 치료(Intrathecal Baclofen Therapy, ITB)는 근긴장 이상(dystonia) 및 경직(spasticity)과 같은 신경계 질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치료법이다.특히, 척수 손상(Spinal Cord Injury, SCI), 뇌성마비(Cerebral Palsy, CP),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 외상성 뇌 손상(Traumatic Brain Injury, TBI) 등으로 인한 중증 근경직 환자들에게 적용된다.이 치료법은 바클로펜(Baclofen)의 중추신경계 내 농도를 직접 높일 수 있어, 경구 투여 대비 적은 용량으로도 강력한 근이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환자에게 적합한 것은 아니므로, 치료 시작 ..

선택적 후근 절단술1. 선택적 후근 절단술의 개요선택적 후근 절단술(Selective Dorsal Rhizotomy, SDR)은 경직성 뇌성마비(spastic cerebral palsy) 환자의 근 긴장도를 낮추기 위해 수행되는 신경외과적 수술이다. 이 수술은 척수의 후근(dorsal root) 일부를 절제하여 과도한 신경 신호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근긴장도를 조절한다. 수술의 목표는 경직을 줄이면서도 기능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것이다.2. 선택적 후근 절단술의 원리뇌성마비 환자는 운동 신호를 조절하는 신경 경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과도한 근긴장이 나타난다. 선택적 후근 절단술은 후근에서 들어오는 감각 신경 신호 중 비정상적으로 과도한 반사를 유발하는 신경을 선택적으로 절제하여 경직을 줄인다. 이 과정에서 ..

강박장애와 정신외과수술: 최신 치료법과 연구 동향1. 강박장애란?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는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특정한 생각이나 행동을 반복하는 정신질환이다. 강박사고(obsession)는 불안과 관련된 불합리한 생각이나 공포심을 수반하며, 강박행동(compulsion)은 이를 완화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손을 씻지 않으면 불안해지는 강박사고가 있는 경우, 반복적으로 손을 씻는 강박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강박장애 환자는 자신의 행동이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인지하지만, 이를 조절하지 못해 삶의 질이 심각하게 저하된다. DSM-V 기준에 따르면, 강박장애의 유병률은 약 23%이며, 청소년기에서 성인 초기(10대 후반20대 초..

근긴장이상증의 수술적 치료근긴장이상증(dystonia)은 1911년 Oppenheimer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주로 근육의 지속적 수축으로 인해 이상한 자세를 취하거나 반복적인 운동을 유발하는 신경학적 질환이다. 이 질환은 원인과 병리 기전이 복잡하며, 완전한 치료법이 존재하지 않지만 다양한 치료 방법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1. 근긴장이상증의 임상 소견 및 증상근긴장이상증은 특정 근육군에서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인 근육 수축이 발생하여 비정상적인 움직임이나 자세를 유발하는 특징이 있다. 이때 **동반근육(agonist muscle)**과 **길항근(antagonist muscle)**이 동시에 수축하는 현상이 관찰된다.움직임 유형이동성(mobile) 또는 운동성(kinetic) 근긴장이상증간헐적(..

강직(spasticity)의 발생 원인과 치료 방법강직이란 수동운동의 속도에 비례하여 증가된 긴장성 심부건 반사를 보이는 운동장애로, 주로 상부운동신경계(UMN) 손상과 관련이 있다. 강직은 뇌졸중, 뇌성마비, 척수손상, 다발성 경화증 등의 다양한 신경학적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1. 강직의 발생 기전강직은 상부운동신경증후군(UMN syndrome)의 일환으로, 근육긴장도 증가, 간대성 경련(clonus), 바빈스키징후, 강직, 좌우-반사궁 근육 동시수축 등의 증상을 포함한다. 강직이 유발되는 부위는 뇌나 척수의 손상으로 인해 주로 피질척수로(pyramidal tract) 및 보조운동영역(supplementary motor area)과 관련된 신경 구조에서 발생한다. 신경생리학적으로 강직은 일차 감..

진전(Tremor)의 수술적 치료진전(Tremor)은 신체의 특정 부위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비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주로 손, 팔, 다리, 머리, 목소리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진전은 단순히 불편함을 유발하는 것에서 나아가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줄 수도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치료법이 존재하며, 특히 약물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 수술적 치료가 고려됩니다.1. 진전의 종류 및 원인진전은 크게 안정성 진전(resting tremor), 자세성 진전(postural tremor), 행동성 진전(action tremor), 의도성 진전(intention tremor) 등으로 구분됩니다.본태성 진전(Essential Tremor): 가장 흔한 유형으로, 주로 손에서 발생하며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 Total
- Today
- Yesterday
- 레보도파
- MEG
- 발작
- mvd
- ilae
- gamma knife
- 뇌심부자극술
- 안장주변 종양
- mri
- 제8뇌신경
- 방사선수술
- 감마나이프
- radiosurgery
- scs
- leksell
- 통증
- 삼차신경통
- 파킨슨
- 저선량 조사
- Seizure
- 뇌전증
- 만성통증
- Epilepsy
- DBS
- 진통제
- 뚜렛
- 방사선치료
- Baclofen
- SPECT
- sd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